전안방
전안방은 각막의 뒤쪽, 홍채의 앞쪽의 작은 공간이다. 전안방은 안방수로 차 있고 안방수의 양은 약 0.2ml이다. 전안방의 깊이는 중앙부에서 3mm이다. 전안방 주변은 각막, 공막, 모양체, 홍채로 이루어지는 각이 있다. 이 부분을 홍채 각막각이라고 하고 이 부위에 섬유주망이 있고 안방수의 유출로가 있다. 앞쪽은 각막과 공막의 일부로 경계가 되어 있다. 뒤쪽에는 홍채의 앞면과 동공으로 노출된 수정체의 일부 그리고 모양체의 일부로 경계되어 있다.
후안방
후안방은 작은 갈라진 틈새 모양의 공간이다. 용적은 약 0.06ml이다. 방수로 차 있고 동공을 통해 전안방과 연결되어 있다. 후안방의 앞쪽은 홍채로 주변은 모양체돌기로 뒤쪽은 수정체와 모양체소대로 경계가 되어 있다.
안방수
안방수는 전안방과 후안방을 채우고 있는 투명한 액체이다. 전, 후안방의 방수용적은 약 0.2ml이다. 안방수는 후안방에 있는 모양체의 모양체돌기에서 항상 일정하게 생산되고 있다. 안방수 생산은 모양체 상피의 무색소 상피세포의 능동 수송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과정은 농도구배에 반해서 일어나며 ATP형성에 에너지가 필요하다. 안방수는 모양체소대 사이와 동공을 통해 전안방으로 유출된다. 유출되는 안방수의 90%는 섬유주망, 슐렘관 , 집합관 및 안방수정맥으로 구성되는 통로를 통하고 나머지 10%는 아마 모양체의 앞면을 통해 이곳에서 세포간극으로 들어가 맥락막 외강으로 확산되어 와정맥으로 들어간다고 생각된다. 유출의 일부는 공막을 통과해 와정맥으로 유입되고 일부는 맥락막정맥에 흡수되어 와정맥으로 유입된다. 안방수의 극히 적은 양은 홍채 혈관 내로 들어가거나 , 유리체로 확산해서 망막이나 시신경의 혈관으로 들어 가는지도 모른다. 각막으로 확산 가능성도 있다. 안방수의 기능은 수정체와 각막의 대사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는 데 있다. 이들 조직에는 혈액공급이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안방수의 기능은 특히 중요하다. 안방수는 포도당, 아미노산, 고농도의 아스코빈산이 함유되어 있고 용존기체도 함유되어 있다. 안방수는 안방수압에 의해 안구벽을 지지해 주고 안구의 광학적 형태를 유지해 준다.
안구내압
정상적인 안구내압은 10~20mmHg이다. 안구내압은 심장박동이나 호흡과 함께 약간 변동된다. 안구내압을 정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3가지의 중요한 요인이 작용한다. 모양체돌기 세포의 안방수 생산율, 섬유주망을 통한 안방수 유출률, 공막정맥동이 관류하는 상공막 정맥압의 세 가지이다. 안구내압은 많은 요인에 ㅡ이해 영향을 받지만 정상적인 압력의 변화는 순간적인 것에 불과하다. 다행히 안구는 압력에 저항하는 구조이고 각막이나 공막에는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일정한 상태가 유지하고 있다.
혈액 방수장벽과 염증
혈액 방수장벽은 무색소 모양체 상피의 폐쇄띠에 의해 형성한다. 이 장벽은 염증과정으로 파괴될 수 있으며 주변조직의 비유창성 모세혈관 내피세포도 쉽게 유출될 수 있다.
방수 유출에 대한 나이와 질병의 영향
방수순환에 저항을 주는 부위가 두 곳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데, 하나는 수정체의 전면이 홍채와 접촉하는 부위이고, 또 하나는 방수가 정맥으로 들어가기 위한 전안방으로 부터 유출되는 부위이다. 홍채-수정체 저항은 연령, 당뇨, 축동제, 홍채 후 유착 그리고 출혈과 염증에 의해 높아진 방수 점성 때문에 증가될 수 있다. 전안방으로부터 정맥계로 방수 유출은 섬유주망의 섬유주 기둥의 비후 같은 연령 변화에 따른 요인, 섬유주를 통한 멜라닌 부스러기의 유출로 폐쇄, 스테로이드의 투여로 섬유주망의 산성 점액 다당류 의 성분 변화에 의한 유출로 차단 등에 의해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녹내장
녹내장은 안압이 병리적으로 톺아져 실명을 유발할 수 있다. 녹내장의 원인은 전안방으로 부터 방수 유출의 장애 때문이다. 녹내장은 광우각과 폐쇄우각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광우각 녹내장은 홍채 근부, 우각 섬유주 그리고 각막사이의 관계는 정상이나 방수유출 저항이 유출관 바로 옆 우각 조직에 형성된 덩어리 때문에 증가될 수 있다. 이런 덩어리 형성은 우각섬유의 교원성분이 점점 증가하여 섬유주 기둥이 비후 되고 섬유주 망의 구명이 좁아지는 변성에 의할 수 있다. 출혈이나 대식세포에 의한 유출로 차단도 광우각 녹내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폐쇄우각 녹내장은 홍채 근부가 앞으로 나와서 우각 섬유주망을 차단하고 방수 유출이 방해되는 것으로 홍채의 염증, 출혈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리체 에 대하여 (1) | 2023.02.02 |
---|---|
수정체 기능 및 백내장 (0) | 2023.02.02 |
망막 망막 색소 상피층 기능 에 대하여 (0) | 2023.01.31 |
홍채 는 우리 눈에서 가장 쉬운곳 에 위치한다 (0) | 2023.01.30 |
맥락막 과 모양체 에 대하여 (0) | 2023.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