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맥락막 과 모양체 에 대하여

by 1eedg 2023. 1. 30.

 

 

맥막막 , 모양체 위치

 

맥락막 이란?

 

맥락막은 뒤쪽의 시신경으로부터 앞쪽의 모양체까지 확대되어 있다. 얇고 연하며, 공막의 내면을 싸는 갈색의 막으로 혈관이 풍부하다. 후극이 가장 두껍고(약 0.22mm) 앞쪽에서는 점점 얇아진다. 시신경, 후모양체동맥 및 모양체신경이 안구로 들어가는 부위에서 맥락막은 공막과 단단히 접착해 있다. 또한 와정맥이 안구로부터 나오는 부위의 공막과도 결합해 있다. 공막과 맥락막 사이에는 간격이 잠재하는데 이것을 맥락막외강이라고 한다. 맥락막상판이라고 하는 얇고 색소를 갖는 결합조직이 이 간격에 있다. 장, 단후모양체 동맥 및 신경이 이 공간을 달린다. 시신경 부위에서 맥락막은 연막 및 거미막에 연속된다.

 

맥락막의 구조

맥락막은 혈관층, 모세혈관층, 기저복합층(부르크막)의 세 층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혈관층은 이 층은 많은 대형 및 중형의 혈관이 있고 멜라닌세포를 함유한 소성 결합조직으로 되어 있다. 동맥은 7개의 단후모양체동맥의 분지이며 앞쪽으로 뻗어 나간다. 정맥은 더 크고 공막을 관통해 4개의 와정맥에 집합되어 안정맥에 연결된다. 둘째 모세혈관층은 멜라닌세포를 함유하는 섬세한 결합조직으로 유지된다. 주머니처럼 확대된 내경이 넓은 모세혈관망으로 이루어져 있고 혈관층의 동맥으로부터 혈액을 받고 혈관층의 정맥으로 혈액을 운반한다. 황반부에서는 모세혈관의 밀도가 가장 높고 내경은 가장 크다. 셋째 기저복합층(부르크막)은 모세혈관층의 모세혈관, 내피세포의 기저막, 외교원섬유층, 탄력섬유망, 내교원 섬유층, 망막색소상피세포의 기저막 들이다. 이층의 기능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맥락막의 모세혈관으로부터 망막으로 조직액을 통과시키는데 어떤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맥락막은 주로 후모양체동맥으로부터 혈액공급을 받고 있다. 전모양체동맥으로부터 다수의 회선분지가 형성되고 있다. 이들 동맥은 모두 안동맥의 분지이다. 4~5개의 와정맥이 있다.

 

맥락막의 기능 및 신경지배

맥락막의 기능은 혈관에 의해 망막 위층에 영양을 공급한다. 또한 안구 앞부분에 많은 혈관을 분포시키고 있다. 망막 색소 상피세포 사이의 폐쇄 띠는 맥락막 조직액이 망막으로 이동을 억제하는 장벽으로 작용된다. 맥락막의 풍부한 색소세포는 망막을 통과하는 과잉한 빛을 흡수해서 반사를 방지하고 있다. 나이가 들면 안저 주변에 붉은빛이 나는 패치가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 이는 부르크막에 작은 황색점의 비후가 나타난 것으로 드루젠이라 한다. 중심부에 흩어져 나타나며, 60세 이상에서 맥락막 혈관의 경화로 형성된다. 맥락막은 장,단 모양체신경에 의해 지배된다. 장모양체신경은 삼차신경의 안신경의 분지인 비모양체신경의 분지이다. 장모양체신경에는 감각신경섬유 와 교감신경섬유가 통과한다. 단모양체신경은 모양체신경절에서 기시하고 부교감신경섬유 및 교감신경섬유가 통과한다. 장, 단모양체신경은 시신경주위에서 공막을 관통해 맥락막외강에서 앞쪽으로 달린다. 종말가지는 혈관벽에 분포한다. 교감신경의 자극으로 맥락막 혈관의 강한 수축을 일으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

 

모양체

모양체의 뒤쪽은 맥락막에 연속되고 앞쪽은 홍채의 주면부로 연결된다. 모양체는 앞쪽 공막의 내면을 싸는 완전한 테를 이룬다. 대략 폭이 6mm(귀 쪽은 6.5mm , 코 쪽은 5.5mm)로 앞쪽에서는 공 막자 까지 그리고 뒤쪽에서는 망막 거상연까지 뻗쳐 있다. 수정체 적도부는 모양체돌기로부터 약 0.5mm의 곳에 위치한다. 모양체 평면부 뒤 가장자리는 부채모양의 가장자리를 갖고 있으며 신경망막부의 거상연으로 연결되어 그것과 일치해서 파장을 이룬다. 모양체는 모양체 상피, 모양체 실질, 모양체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양체 상피는 모양체의 내면을 싸는 2층의 입방형 세포로 되어 있다. 발생학적으로 안배의 2층에 해당된다. 모양체 실질은 혈관과 멜라닌세포가 풍부하고 모양체근을 포함하는 소성결합조직 다발로 이루어져 있다. 실질의 결합조직은 모양체 돌기로 연장되고 돌기의 결합조직핵을 형성한다. 혈관은 모양체동맥, 정맥, 모세혈관망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모양체근은 모양체의 주체를 이루고 평활근섬유로 이루어진다. 근섬유는 세 가지로 나누어지며 대부분의 섬유는 공막자의 부착되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