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망막 망막 색소 상피층 기능 에 대하여

by 1eedg 2023. 1. 31.

 

망막 , 시신경

 

신경층(망막)

 

신경층, 즉 망막은 안구의 최내층에 위치한다. 이층은 광학적 상이 눈의 광학계에 의해 형성되는 곳으로 광화학적 전달이 일어나서 신경자극이 생성되어 시로를 따라 뇌로 전달된다. 망막은 투명한 얇은 막으로 생체에서는 자색을 띠는 적색을 나타낸다. 두께는 시신경이 가까운 곳에서는 0.56mm이고 점점 두께가 감소해 거상연 근처에서는 0.1mm로 된다. 중심 와에서는 가장 얇다. 망막은 앞부분에서는 모양체와 홍채의 상피로 되고 뒤부분에서는 시신경과 연속된다. 망막의 외측면은 맥락막의 기저복합층에 접해 있고 내측면은 초자체에 접해 있다. 망막은 시신경원판의 가장자리 부위와 앞쪽 거상연에서 강하게 접착되어 있다. 귀 쪽에 비해 코 쪽에서는 더욱 앞쪽까지 뻗쳐 있어서 코 쪽에서 거상연부 위는 각막윤부에 더 가깝다. 안구의 외측에서 본 거상연의 기준은 코 쪽에서는 내직근 귀 쪽에서는 외직근의 부착부이다. 망막은 외층의 색소층과 내층의 신경감각층으로 이루어지고 신경외배엽에서 발생한다. 외층은 안배의 외판, 내층은 안배의 내판에서 유래한다. 안구 뒤쪽 망막의 수용부위는 시신경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어 모양체까지 도달한다. 여기에서 망막의 신경조직은 끝나고 그 앞끝은 파도모양을 형성하는데 이것을 거상연이라고 한다. 안구 앞부분의 빛을 감각하지 못하는 거상연부 위의 망막은 모양체 및 모양체돌기의 원주세포로 이루어진 색소층과 무색소층에 연속된다. 두 층은 홍채상피로 연속되고 홍채의 뒷면을 싸지만 홍채에서는 이 두 층이 모두 색소를 갖는다. 뒤쪽망막의 중심부에는 타원형, 황색조의 황반이라고 하는 부위가 있고 이 부위에서 가장 양호한 시력을 얻을 수 있다. 황반 중심의 함몰을 중심 와라고 한다.

 

망막색소상피층

 

망막색소상피층은 1층의 세포로 형성되고 시신경가장자리로부터 거상연까지 펼쳐져 있다. 거상연부 위에서 망막색소상피층은 모양체 색소상피층으로 이행한다. 망막색소상피층은 후극부 위에서 폭이 좁고 높으며 거상연 가까이에서는 편평하게 된다. 접선방향의 절편에서 색소상피세포는 6 각형을 나타낸다. 각각의 세포기저부에는 많은 주름이 보이는 기저막이 보인다. 이 기저막은 맥락막의 기저복합층(부르크막)의 일부를 구성한다.  세포막끼리는 기저막 부근에서 세포를 둘러싸는 부착띠에 의해 결합되고 또한 정상부근에서 폐쇄띠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 폐쇄 띠는 전신순환계로부터 망막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아주 중요한 것이다. 망막색소상피세포의 핵은 기저부 가까이에 위치한다.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많은 멜라닌과립이 미세융모 속까지 들어가 있다. 발달한 무과립형 질내세망과 과립형 질내세망이 존재하고 골지장치도 보인다. 많은 용해소체가 과산화소체나 포식소체와 함께 보인다. 용해소체는 포식소체의 내용물을 소화시키기 위한 왕성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망막색소상피층의 기능

 

망막색소상피세포는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빛을 흡수하고 광수용체의 외절의 갱신에 관여하고 시각물질의 전구물질의 인 Vit.A 저장과 방출에 의해 rhodopsin과 iodopsin을 합성한다. 또한 색소세포는 분비기능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색소세포는 신경망막의 광수용체층으로 빛이 되돌아가지 못하도록 하는 무반사 기전에 의해 빛을 흡수한다. 색소상피층은 안배의 외층으로부터 발생하고 간체세포(막대세포)와 추체세포(원뿔세포)는 안배의 내층에서 발생된다. 간체세포(막대세포)와 추체세포(원뿔세포)는 안포의 안포강에서 유래하는 잠재적인 간극에 의해 나누어진다. 2층은 아주 밀착해 있지만 분리하면 박리된 망막으로 된다.

 

혈액망막 장벽

 

색소상피세포는 폐쇄띠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완전히 세포들을 하나로 연결시키고 있다. 이러한 배열은 이온의 유, 출입을 제한하고,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광수용체로 분자량이 큰 독성물질의 확산을 저해하는 장벽을 형성한다.

 

백아증

 

백피나 백아증은 망막과 포도막의 색소세포에 멜라닌 색소가 부족한 것인데, 임상 예에서 보면 홍채가 투과되어 모양체돌기와 수정체를 볼 수 있게 되고 동공은 적색이다. 안저는 약한 적색, 망막과 포도막 혈관이 흰색 공막에 비칠 수 있다. 색소세포의 수는 정상이나 멜라닌 색소는 부족하다.

 

신경망막

 

신경망막은 안배의 내층에서 발생한다. 중요한 3개의 신경원인 광수용체 양극세포 신경절세포로 구성된다. 또한 신경망막에는 수평세포나 무축삭세포 라고 하는 중요한 신경원도 있고 위의 신경원의 작용을 조절한다. 또한 지지세포도 존재하고 있다. 광수용 세포는 신체의 다른 부위에 있는 감각수용기와 유사하다. 양극세포는 후근신경절의 신경원에서 유사하고 1 차신경원을 형성한다. 신경절세포는 척수나 뇌간에서 볼 수 있는 개재신경원과 유사하고 2 차신경원을 형성한다. 신경절세포의 축삭은 공막의 사상판을 통해 시신경의 실질로 들어간 뒤 수초를 갖는다. 이들 축삭의 수초는 세포가 아니고 회돌기교원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시신경은 중추신경로와 같다. 시신경과 시삭은 외측슬상체로 자극을 전달하고 여기에서 대부분의 축삭은 신경세포와 연접하고 형성하고 끝난다. 성숙한 망막은 거상연, 시신경원판 및 중심 와 이외의 부위에서 10층으로 이루어진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