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와 에 대하여

by 1eedg 2023. 2. 3.

안와 뼈

 

 

안와

 

안와는 1쌍의 큰 소켓 모양의 골로 이루어진 구조로 안구, 근육, 신경, 혈관, 지방조직, 눈물기관, 결합조직, 힘줄, 건막, 림프, 등을 수용하고 있다. 안와는 서양배 모양이며 안와첨은 후내방 약간 상측방향에 있다. 내벽은 시상면과 앞뒤로 평행하며 외벽은 약 45도의 각도로 넓어진다. 안와는 상악골, 구개골, 관골, 접형골, 전두골, 사골 및 누골 등 7개의 골로 구성되어 있다. 안와연은 단단하고 둥근 각을 갖는 4 각형이다. 성인의 안와연은 세로보다 가로로 약간 길다. 안와상연은 전두골로 형성되고 외측의 2/3는 날카롭고 내측의 1/3은 약간 둥근 띠모양을 하고 있다. 이 두 부분의 경계로 안와상 혈관과 안와상신경이 통하는 안와상 절흔 또는 안와상공 이 있다. 외측연은 안와연 중에서 가장 단단한 부분으로 아래쪽은 관골의 전두돌기, 위쪽은 전두골의 관골돌기로 이루어진다. 안와하연은 날카롭고 외측은 관골 , 내측은 상악골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연 윗부분은 전두골 상악돌기, 아랫부분은 상악골 전두돌기의 누낭능으로 이루어진다. 내측연 윗부분은 뚜렷하지 않지만 아랫부분은 날카롭고 쉽게 촉지 된다. 안와벽은 골막으로 싸여 있고 위벽, 아래벽, 내벽, 외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와첨은 상안 와요의 내측 끝에 위치한다.

 

안와골막(안와근막)

안와골막은 안와벽을 구성하는 뼈의 골막이다. 뼈에 느슨하게 붙어있고 공이나 열을 통해 뼈의 외표면을 싸고 있는 골막에 이어진다. 상안 와요, 시신경관, 전사골관에서는 경막의 골내층에 연속되어 있다. 구멍을 통과할 곳과 봉합 부분에서는 뼈에 단단히 부착하는 경향이 있다. 시신경관에서는 안와골막은 시신경의 경막에도 부착해 있다. 안와연에서는 두 개표면의 골막과 연결된다. 여기에서는 종이모양으로 되어 안검으로 들어가 안와격막을 형성한다. 또한 작은 돌기가 되어 상사근건의 활차를 똑바로 지지해 주고 있다. 이 골막은 누선도 포함하고 있다. 뒤쪽은 시신경관과 상안 와요의 내측 끝의 주위에서 골막은 두꺼워지고 총건륜 이라고 하는 섬유성 고리를 만들어 이것을 4개의 직근건의 기시부가 된다. 안와근은 하안 와 열을 지나는 평활근의 얇은 층이다. 안와골막의 근막 중에 묻혀 있고 기능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흔적근으로 보인다.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고 있다.

 

안와의 나이에 따른 영향

태어날 때의 안와는 비교적 크고 안와연은 골화 해서 단단하고 강하며 분만 시에는 안구를 보호한다. 유아기에 안와강은 성인에 비해 외측으로 있는 것 같이 보인다. 상하안와 열은 어린이에서는 넓고 나중에 접형골대익의 성장에 따라 좁아진다. 어린이에서는 양쪽의 안와 사이의 거리가 작고 나중에 전두동과 사골동이 발달해 확대됨에 따라 곧 멀어진다. 노인에서는 골의 흡수가 일어나서 위벽이나 외벽, 그리고 내벽에 구멍이 생기는 일이 종종 있다. 안와는 사춘기 까지는 남녀 사이의 안와는 거의 차이가 없다. 그 후 여성의 안와는 둥글고 남성에 비해 골은 매끈하다. 안와의 신경은 운동, 감각 및 자율신경으로 나눈다. 운동신경에는 동안신경, 활차신경, 외전신경이, 감각신경에는 삼차신경의 눈가지 및 상악가지가 포함된다. 자율신경은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으로 이루어지고 혈관, 평활근, 선에 분포한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륜근 과 상안 검거근 설명  (0) 2023.02.05
안검 이란  (0) 2023.02.05
유리체 에 대하여  (1) 2023.02.02
수정체 기능 및 백내장  (0) 2023.02.02
방수의 역할 안압 상승 에 의한 녹내장 발생  (0) 2023.01.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