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륜근
안륜근은 평탄하고 타원형인 근육이다. 안와연을 싸고 측두 부분, 볼부위(안와 부분)로 넓어진다. 또한 안검부(안검 부분)로 넓어져서 마침내 누낭의 뒤쪽(누낭 부분)까지 넓어진다. 이들은 횡문근으로 이루어진다. 안륜근 안검 부분은 내측 안검인대에서 기시하는 얇은 근섬유다발로 이루어진다. 근섬유는 내측안검인대의 얕은 층 및 깊은 층에 부착해 있다. 근섬유는 또한 그 부근의 골에서도 기시하고 있다. 근섬유는 안검을 가로질러 안와격막의 앞을 외측으로 그리고 동심원모양으로 달린다. 외측안각에서는 근섬유가 외측안검봉선으로 끝난다. 안검연에는 첩 모근이라고 하는 가는 근섬유의 집단이 있다. 안륜근의 깊숙한 곳에는 안검의 혈관이나 신경을 함유한 결합조직의 얇은 층이 있다. 안면신경의 측두분지와 관골분지가 외측으로부터 근의 심층으로 들어간다. 안륜근 안와 부분은 엽낭주머니 끈모양으로 이마, 측두 부분, 볼의 피부를 안와의 내측각을 향해 끌어 잡아당긴다. 피부는 돌출한 주름을 만들어 안검 위에 씌워져 있어서 그 아래의 안구를 보호한다. 안륜근 안와 부분은 거의 수의운동이지만 반사적으로 수축하는 일도 있다. 안륜근 안검 부분은 상안검을 내리고 하안검을 올려 안검을 닫는다. 그 운동은 수의운동, 불수의운동 어느 것도 일어날 수 있다. 눈 깜빡이는 반사(순목반사)에 의해 눈물층이 각막을 덮는 것은 확실하다. 각막이 건조하면 반사가 시작된다. 강하게 수축을 하면 상하안검이 내측으로 잡아당겨진다. 누낭 부분은 안검을 내측으로 잡아당기며 , 또한 누낭의 근막을 잡아당겨 누낭을 확장시킨다. 이와 같은 누낭작용은 눈물의 펌프작용을 제공한다. 또한 이 운동이 누점이 안구나 누호에 접하도록 위치하는데 도움을 준다. 안륜근 전체는 표정을 짓는데 중요한 역할을 갖는다. 안륜근 안와 부분의 길항근은 후두전두근의 전두복이고, 안륜근 안검 부분의 길항근은 상안검거근이다. 제7 뇌신경의 장애로 안륜근이 마비되면 눈이 감기지 않기 때문에 하안검이 안구로부터 외반 되며, 누점이 누호와 접하지 못해 눈물이 하안검 위로 흐르는 유루가 된다. 안륜근의 노인성 약화도 이와 같은 상태가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안검의 섬유성 구조는 안와격막이라고 하는 한 장의 막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안와연에 부착하고 안와골막에 연속된다. 안와격막은 안와강 내용물과 안검을 갈라놓는다. 안와격막은 내측 안검인대의 뒤쪽에 위치한다. 안와의 외측에는 안륜근 외측 봉선의 뒤에 있지만 외측 안검인대의 앞쪽에 있다. 검판은 빽빽한 섬유성 조직으로 되고 안검의 굳은 형태를 유지해 준다. 상안검의 검판은 하안검의 검판보다 훨씬 크고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다. 중앙부의 폭은 10mm로 양쪽 끝을 향하여 점점 가늘어진다. 상연은 안와격막 및 상안검거근의 평활근섬유에 부착해 있다. 하안검의 검판은 작고 중앙부의 폭은 5mm로 양쪽 끝을 향해 점점 가늘어진다. 하연은 안와격막에 부착해 있다. 내측 안검인대는 검판의 내측단을 누낭 와 및 상악골 전두돌기에 연결시킨다. 내측 안검인대의 상연은 분명하지 않을 수 있지만 하연은 두껍고 분명하다. 내측안검인대는 누낭의 앞에 위치한다.
상안검거근
상안검이 하안검과 다른 것은 강력한 횡문근인 상안검거근의 부착부를 함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지부의 건은 안와격막의 뒤쪽에서 상안검으로 내려오는 건막이다. 건으로 된 섬유는 안와격막을 관통하여 상검판의 전표면에 부착되고, 일부 섬유는 안륜근 근다발 사이를 앞쪽으로 향해 피부에 부착하며 상안검구를 이룬다. 상안검거근의 건막은 근복보다 약간 폭이 넓다. 안쪽, 바깥쪽으로의 건막의 확장을 뿔이라고 한다. 바깥 뿔은 누선에 들어가 있고 그 때문에 누선은 건막의 외측연을 감싸는 모양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치가 누선을 얇은 안검 부분과 두꺼운 안와 부분으로 갈라놓는다. 바깥 뿔은 외측 안검인대를 따라가 관골의 가장자리 결절에 부착된다. 안쪽 뿔은 안와격막과 내측 안검인대에 융합한다. 안쪽 뿔과 바깥 뿔의 부착은 상안검거근의 작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건막 아래면에서 기시하는 1장의 얇은 평활근은 상검판근 이라고 한다. 이 근은 상검판의 상연에 정지한다. 금판의 윗면에서 기시하는 것은 안와격막의 뒤를 상행해서 안와연 골막에 부착하는 근막이다. 상안검거근은 시신경관에 위, 앞쪽에 위치하는 접형골 소익의 아래면에서 기시 한다. 상안검거근의 주체인 횡문근 부분은 동안신경 윗가지에 의해 지배된다. 평활근(상검판근)은 상경 교감신경절에서 오는 교감신경지배를 받는다. 상안검거근은 상안검을 올린다. 공포나 흥분은 평활근(상검판근)을 수축시키고 그 결고 ㅏ상안검은 더욱 올라간다.
안검의 신경지배
상안검의 감각신경지배는 삼차신경의 눈가지에서 분지 된 활차상신경, 활차하신경, 안와상 신경, 누선신경이다. 하안검 피부의 내안각 부분은 삼차신경눈가지의 활차하신경분지에 의해 지배되고 있지만 나머지 부분은 삼차신경의 상악가지의 종말 부분인 안와하신경의 분지에 의해 지배된다. 안륜근은 안면신경의 측두 및 관골분지에 의해 지배된다. 안검의 평활근(상, 하 검판근)은 상경 교감신경절로부터 오는 교감신경섬유의 지배를 받는다.
'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막 렌즈에 대하여 (0) | 2023.02.06 |
---|---|
콘택트렌즈 재질 공막 렌즈 에 대해 (0) | 2023.02.06 |
안검 이란 (0) | 2023.02.05 |
안와 에 대하여 (1) | 2023.02.03 |
유리체 에 대하여 (1) | 2023.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