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의 운동
안구는 안와 내에서 안와 지방조직으로 둘러싸여 있다. 많은 결합조직 격막이 안구집으로부터 안와벽까지 안와 지방조직 사이를 통해 방사상으로 달려 중요한 지지기구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나타내주고 있다. 그 외에 내측의 안와벽에 부착하는 것으로 더욱 지지를 견고하게 해 준다. 외래 안근의 긴장은 머리의 방향이 바뀌어도 안구를 거의 정확히 고정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안구위치란 안구가 똑바로 정면을 향해 있는 위치를 말한다. 제2안구위치란 안구가 위, 아래 및 외측, 내측을 향해 있을 때의 위치를 말한다. 제3안구위치란 안구가 기울어져 있는 위치를 말한다. 각막중앙이나 동공의 중앙은 해부학적으로 안구의 전극으로 이용되고 있다. 모든 안구운동은 3개의 Fick의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때(수평, 수직, 시상) 전극의 움직임의 방향과 관계가 있으며 이때의 용어는 다음과 같이 된다. 상전이란 안구가 위쪽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하전이란 안구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외전이란 안구가 외측으로 회전하는 것이며 내전이란 안구가 내측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안구의 회전은 각막(또는 동공)의 상연을 기준으로 한다. 이 점을 시계의 12시 또는 경선이라고도 한다. 안구의 내 회선, 외회선의 용어가 있다. 끄는 운동이란 용어는 때때로 1개의 안구가 있는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의 운동에 대하여 쓰는 것이다. 상전, 하전, 외전, 내전, 내 회선, 외회선 이 있다.
안구의 회전축
안구운동은 회전의 중심을 통해 서로 직각으로 위치하고 있는 3개의 가공축을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한다고 생각한다. Fick의 수직축은 외전이나 내전에 관계한다. Fick의 수평축은 안구가 상전 또는 하전하기 때문에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통하는 축이다. Fick의 시상축은 앞뒤방향을 통하는 축으로 시선과 일치한다. 안구의 내 회선과 외회선은 이 축을 중심으로 해서 일어난다.
외래 안근의 작용에 관한 상세한 관찰
각 근육의 기시부위의 골과 안구의 정지부위를 정리하고 안구운동의 축에 대해 끌리는 방향을 관련지어 생각한다. 상직근 및 하직근은 안구의 제1 눈위치에서 안구의 수직축의 코 쪽 23도의 각도에서 뒤쪽으로 당긴다. 상사근의 건은 안구의 제1 눈위치에서 수직축의 코 쪽 54도의 각도에서 앞쪽으로 당긴다. 하사근은 제1 눈위치에서 안구의 수직축의 코 쪽 51도의 각도에서 앞쪽으로 당긴다. 안구에 작용하는 1개의 근육이 수축할 때 그의 긴장이나 길이는 변화하는데 다른 외래 안근도 긴장과 길이가 변한다. 일단 안구가 움직이면 다른 근육의 정 저버리는 기시부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가 변한다. 따라서 나머지 근육의 작용도 변한다. 안구의 목적에 맞는 운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6개의 모든 외래 안근의 신경지배가 뇌간 속에서 정확히 협조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안근의 근방추나 건은 여러 가지 근육의 길이나 긴장을 평가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지방조직 내에 있는 안구의 위치는 안구의 운동에 관계없이 6개의 모든 외래 안근의 긴장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안구가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1개의 근육의 단독적인 작용이 아니라 근육무리가 주동근, 길항근 또는 공동근으로서 함께 일제히 움직이지 않으면 안 된다. 움직이는 대상물에 초점을 맞출 때에 양눈의 망막이 동일한 위치에 상을 맺는 것은 양쪽 안구의 공액운동이 필수적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중추신경계에 있어서 12개(한쪽에 6개)의 근수축의 미묘한 협조가 필요하다. 항상 시각에 의한 돼 먹이가 걸려 있기 때문에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고 복사를 피하게 된다. 헤링의 법칙에 따르면 안구의 수의운동 때 똑같이 또한 같은 시간에 신경지배가 중추신경계로부터 특정의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양쪽 안구의 근육까지 미치고 있다. 예를 들면 , 폭주 때 오른쪽과 왼쪽의 내직근은 동일하게 그리고 동시에 신경지배를 받고 있다. 오른쪽을 볼 경우 오른쪽 외직근과 왼쪽의 내직근은 똑같이, 그리고 동시에 신경지배를 받고 있다. 상반신경지배에 관한 쉐링턴의 법칙에 따르면 주동근인 외래 안근의 수축성 증가는 길항근의 수축성 저하를 동반한다. 예를 들면 오른쪽을 볼 때에는 오른쪽 눈의 외직근과 왼쪽 눈의 내직근의 수축이 증가하고 오른쪽 눈의 내직근과 왼쪽눈의 외직근의 수축이 저하된다.
'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물의 배출이란? (0) | 2023.02.22 |
---|---|
FLUO검사 문제점 및 렌즈착용자에 의한 문제점 (1) | 2023.02.21 |
렌즈 착용 및 피팅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2.16 |
강한 근시 강한 원시 시력 감소에 대해 (0) | 2023.02.15 |
시야와 주시 범위에 대해 (0) | 2023.02.13 |
댓글